북악코스

2014. 11. 19. 14:11참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11월 27일(목)[평일도보]한양도성 1코스북악(백악)구간과 인왕산 수성동계곡 걷기

 

서울 한양도성 1코스 백악(북악)구간은

혜화문에서 백악을 넘어창의문에 이르는 구간이다. 백악(북악산, 342m)은 옛 서울의 주산으로 내사산 중 가장 높다.

공극산(拱極山), 면악(面岳)이라고도 하였으며 산세가 ‘반쯤 핀 모란꽃’에 비유될 만큼 아름답다. 한양도성은

백악을 기점으로 축조되었다. 1968년 1·21 사태 이후 40년 가까이 출입이 제한되다가 2007년부터 시민에게 개방되었다.

 

 서울 한양도성[사적 제10호]
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경계를 표시하고 그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

축조된 성이다. 태조 5년(1396), 백악(북악산) · 낙타(낙산) · 목멱(남산) · 인왕의 내사산(內四山) 능선을 따라

축조한 이후 여러 차례 개축하였다. 평균 높이 약 5~8m, 전체 길이 약 18.6km에 이르는 한양도성은 현존하는

전 세계의 도성 중 가장 오랫동안(1396~1910, 514년) 도성 기능을 수행하였다.

 

한양도성에는 4대문과 4소문을 두었다. 4대문은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숙정문 · 흥인지문 · 숭례문 · 돈의문이며

4소문은 서북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창의문 · 혜화문 · 광희문 · 소의문이다. 이 중 돈의문과 소의문은 멸실되었다.

또한 도성 밖으로 물길을 잇기 위해 흥인지문 남쪽에 오간수문과 이간수문을 두었다.

한양도성은 순성길을 따라 하루에 돌아볼 수 있지만, 내사산을 중심으로 한 백악·낙산·남산(목멱산)·인왕산 구간

도성이 멸실된 흥인지문·숭례문 구간 등 6구간이 있다

 

섣는구간 : 혜화문 -와룡공원-말바위 안내소-숙정문-백악 촛대바위-백악 곡성-1·21 사태 소나무-창의문 안내소-

창의문-윤동주문학관-수성동계곡 

거리 : 9 km 소요시간 : 약 5시간 소요

'참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소백산 자락길  (0) 2014.11.27
프라하  (0) 2014.11.21
남도 먹거리  (0) 2014.11.17
청량산  (0) 2014.10.16
설악 공룡능선  (0) 2014.10.08